728x90 반응형 대기환경기사 필기/연소공학6 [연소공학] 이론연소온도, 실제연소온도 1. 이론연소온도 계산식 - 이론연소온도는 저위발열량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.- 여기서 G X C는 총정압비열로 나타낼 수 있다. (1) 이론연소온도 기출문제(1)-1 대기환경기사 2021년 09월 12일 기출문제32. 다음 조건을 갖는 기체연료의 이론연소온도는? 이론연소온도(t2) = 7500/(10.5 X 0.35) + 25∴ t2 = 2065.81 ≒ 2066 ℃ 2. 실제연소온도 계산식 - 실제연소온도는 연소공기보유열과 주위로의 방출열량을 고려한다 2024. 11. 24. [연소공학] 폭발범위 - 르샤틀리에의 법칙 폭발범위 - 가연성 가스1. 르샤틀리에의 법칙(1) 정의평형상태에 있는 물질계의 온도, 압력을 변화시키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게 되는데, 이에 따른 열역학적 평형이동에 관한 법칙을 르샤틀리에의 법칙 (2) 르샤틀리에의 법칙에 의한 폭발범위 계산식 (2)-1 혼합가스의 폭발범위 계산 예시 문제 풀이ex) 조성범위 메탄 50%, 에탄 30%, 프로판 20%인 혼합가스의 폭발범위 계산sol) 혼합가스의 폭발범위 계산하는 문제에서는 르샤틀리에의 법칙을 적용하여 혼합 구성 가스에 대한 폭발범위를 이용하여 하한값, 상한값을 각각 구해 문제를 푼다.폭발범위 : 메탄 5~15%, 에탄 3~12.5%, 프로판 2.1~9.5%- 폭발 하한값(하한연소범위) : 구성 가스의 .. 2024. 11. 16. [연소공학] 저위발열량, 고위발열량 계산식 1. 발열량(1) 저위발열량(Hl) : 고위발열량에서 물의 증발잠열을 제외한 값(2) 고위발열량(Hh) : 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총 발열량 값 2. 발열량 계산식(1) 고체, 액체 연료 저위발열량(Hl) 계산식 (2) 기체 연료 저위발열량(Hl) 계산식 - H2O 항목은 완전연소반응식에서 H2O의 계수를 대입하면 된다. (3) 듀롱(Dulong)식 고위발열량(Hh) 계산식 2024. 11. 15. [연소공학] 최대탄산가스량(CO2max) 1. 최대탄산가스량(CO2max)- 과잉 공기 없이 가연물을 산화시켰을 때 발생하는 건조가스량에서의 CO2 부피 백분율- 연소 방식에 관계없이 일정-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완전 / 불완전 연소를 판정한다 2. 공기비와의 관계CO2max(%) = 공기비(m) X CO2(%) 3. 최대탄산가스량(CO2max) 공식(1) CO2, CO, O2가 주어질 때CO2max(%) = [21 X (CO2 + CO)] / [21 - O2 + 0.395 X CO] (2) CO2, O2가 주어질 때CO2max(%) = (21 X CO2) / (21 - O2) (3) 이론건연소가스량(God)를 이용한 최대탄산가스양 계산식CO2max(%) = 1.867C/God X100*이론건연소가스양(God) 계산식 ** 이론건연소가스량.. 2024. 11. 10. [연소공학] 공기비(m, 과잉공기계수) 1. 공기비(m, 과잉공기계수)의 특징(1) 공기비가 클 경우 발생하는 현상- 연소실 내 연소온도 감소 (냉각효과)- 희석효과가 커져서 연소 생성물 농도의 감소- 에너지 손실 증가로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 증대- SO2, NO2 함량의 증가로 인한 부식 가속화- CH4, CO, C 물질 농도의 감소 (2) 공기비가 작을 경우 발생하는 현상- CO, CH 농도 증가- 매연이나 검댕 발생량 증가- 폭발 위험- 연소 효율 증가 2. 공기비(m, 과잉공기계수) 공식*오르자트(Orsat) 분석법(1) 불완전연소 시 : CO2%, O2%, CO% 주어질 때공기비 m = N2% / [N2% - 3.76(O2% - 0.5XCO%)]* N2% = 100 - (CO2% + O2%+ CO%) (2) 완전연소 시 : O2%.. 2024. 11. 9. [연소공학] 공기연료비 (AFR) 1. 공기연료비(AFR, Air Fuel Raito) :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로 공기와 연료의 이상적인 화학적 필요량으로 질량비, 부피비를 기준 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낮아지면 NOx는 감소, CO와 HC 증가 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증가하면 산소량 급격히 증가하는데, 이때 과잉 공기 주입으로 인한 열손실과 연료손실 발생 - CO와 HC는 불완전연소 시에 배출율이 높고, NOx는 이론 AFR(최적 공연비) 부근에서 농도가 높다. - NOx는 공연비가 낮거나 높아도 감소할 수 있다. - 완전연소반응식을 통해 AFR을 구한다. (1) AFR의 값에 따른 농도 변화 - AFR을 14.7과 가까운 값으로 증가시키면 NOx 농도는 증가, CO, HC 농도는 감소 - AFR을.. 2023. 6. 26.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