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대기환경기사 필기37

[대기오염개론] 온실효과 기여도, 온난화지수, 오존파괴지수 1. 온실효과 기여도(1) 온실효과지구는 태양에너지를 받은 후 다시 에너지를 방출하여 복사평형을 유지한다. 이때 대기 중의 여러 온실기체(CO2, H2O, CH4 등)는 지구가 방출하는 긴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그 에너지를 대기 중에 묶어두는데, 이런 대기 중의 에너지가 기체 분자의 운동량을 증가시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는데 이런 효과를 온실효과라 한다. (2) 온실효과 기여도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여러 온실기체가 온실효과에 작용하는 기여의 정도 CO2(이산화탄소) > CFCs(염화플루오린화탄소화합물) > CH4(메테인) > N2O(아산화질소)   2. 온난화 지수 (Global Warming Potential, GWP)(1) 온난화 지수 뜻임의의 화학물질 1 kg이 지구의 대류권으로 방출되었을 때, 일정한.. 2023. 7. 31.
[대기오염개론] 바람장미, 바람과 대기오염 1. 바람장미 (Wind Rose, 풍배도) - 바람 계급별일수라고도 한다. - 방향별로 관측된 바람의 발생빈도와 풍속을 원형상에 막대그래프로 표시함 - 풍향, 풍속, 무풍률, 발생빈도를 알 수 있음 (1) 바람장미 해석 - 풍향별로 관측된 바람의 발생빈도와 풍속을 16방향인 막대기 형으로 표시한 기상도형 - 가장 빈도수가 많은 풍향을 주풍이라 하며, 막대의 길이가 가장 길게 표시된다. - 막대기의 굵기는 풍속을 의미한다. : 아래 풍속에 따라 굵기와 색깔로 차이를 표시해 놓음 - 풍향별 발생빈도의 백분율을 방향량(Vector)이라고 함 - 풍속이 0.4m/sec 이하를 정온(calm, 고요)이라고 하며, 바람장미 중앙에 숫자로 무풍률을 표시함 - 주풍을 따라 대기오염물질이 이동하기 때문에 특정지역의 오.. 2023. 6. 28.
[대기오염개론] 국지풍 - 해륙풍, 산곡풍, 전원풍 1. 해륙풍 - 바다(물)와 육지(흙)의 비열차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- 낮과 밤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에 따라 해풍, 육풍이라 한다. - 해풍은 주로 여름, 육풍은 주로 겨울에 잘 발생함 (1) 해풍 - 낮에는 물보다 흙이 비열이 작아 빨리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육지 위 공기가 빨리 데워진다. - 데워진 육지의 공기가 팽창하고 가벼워져서 상승하며, 육지의 기압이 낮아져 저기압이 형성된다. - 바다는 천천히 데워져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며, 바다의 기압이 높아져 고기압이 형성된다. - 상승한 공기로 비워진 육지를 채우기 위해 바다의 차고 무거운 공기가 육지 쪽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난다. = 낮에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해풍 (2) 육풍 - 밤에는 물보다.. 2023. 6. 27.
[대기오염개론] 바람의 종류 1. 지균풍 (Geostrophic wind) - 기압경도력, 전향력의 힘이 평형이 될 때, 등압선에 평행하게 직선운동을 하는 수평의 바람 - 고도가 1km 이상으로 높은 곳에서 완전히 직선인 등압선에 나란하게 부는 바람 -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로 작용하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의 흐름은 발생하지 않고 등압선을 따라 흐른다. - 북반구 기준 지균풍은 왼쪽에 저기압, 오른쪽에 고기압을 두고 분다. - 위도 30도에서의 지균풍속 > 극지방 지균풍속 : 2배 2. 지상풍 (Surface wind) - 기압경도력, 마찰력, 전향력의 세 힘으로 인해 부는 바람 - 고도 1km 이하에서 등압선에 비스듬히 부는 바람 - 마찰의 발생이 심한 지표부근에서 마찰력이 작용하여 지상풍이 두드러지게 된다.. 2023. 6. 26.
[연소공학] 공기연료비 (AFR) 1. 공기연료비(AFR, Air Fuel Raito)  :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로 공기와 연료의 이상적인 화학적 필요량으로 질량비, 부피비를 기준 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낮아지면 NOx는 감소, CO와 HC 증가 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증가하면 산소량 급격히 증가하는데, 이때 과잉 공기 주입으로 인한 열손실과 연료손실 발생 - CO와 HC는 불완전연소 시에 배출율이 높고, NOx는 이론 AFR(최적 공연비) 부근에서 농도가 높다. - NOx는 공연비가 낮거나 높아도 감소할 수 있다. - 완전연소반응식을 통해 AFR을 구한다.  (1) AFR의 값에 따른 농도 변화 - AFR을 14.7과 가까운 값으로 증가시키면 NOx 농도는 증가, CO, HC 농도는 감소 - AFR을.. 2023. 6. 26.
[대기오염개론] 자동차 배출가스 1. 자동차 배출가스 - 배출가스 종류 : HC, CO, NOx, CO2, SOx, 매연 등 - 가장 배출량이 많고 주요 유해가스 : HC, CO, NOx - 엔진작동상태(공전, 운행, 가속, 감속)에 따라 자동차 배출가스의 구성이 달라진다. - 연료량에 비해 공기량이 부족한 경우 CO 발생량 증가 - NOx는 높은 연소 온도에서 발생량 증가, 매연은 연료가 불완전연소 시 발생 (1) 자동차의 주행방식에 따른 배출가스 NOx CO HC 많이 배출될 때 가속 공회전, 가속 감속 적게 배출될 때 공회전 운행 운행 (2) 가솔린 기관 특징 - 연료를 공기와 혼합(예혼합연소)시켜 압축 후 점화플러그로 강제 연소 폭발시키는 방식 - 배출가스 : HC, CO, NOx, Pb 등 - 휘발유, 옥탄가(C8H18) - .. 2023. 6. 25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