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대기환경산업기사59

[대기오염개론] 광화학반응 1. 광화학반응-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그 빛에너지에 의해 일어나는 화학 반응- 일반적으로 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먼저 상태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로 들뜬다.- 들뜬 분자가 다른 분자들과 반응하여 더 많은 들뜬 분자를 만들고 반응은 발전해서 연쇄 반응이 된다. (1) NOx (질소산화물)의 반응     - NO2(이산화질소)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NO(일산화질소)와 O(산소원자)의 상태로 분리-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NO가 배출된다.- 분리된 O(산소원자)는 대기 중의 산소분자(O2)와 결합하여 오존(O3)을 생성하여 광화학스모그 형성- 생성된 오존(O3)은 NO와 결합하여 다시 NO2와 O2를 생성- 대기 중 오존 농도는 일반적으로 NO2로 산화되는 NO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- 대기중에 NO가 존재하고 탄화.. 2023. 6. 23.
[대기오염개론] 실내오염물질 1. 실내공간오염물질의 종류 '실내공기질 관리법' 제2조제3호 미세먼지 (PM-10) 초미세먼지 (PM-2.5) 이산화탄소 (CO2) 폼알데하이드 (CH2O) 총부유세균 (TAB) 일산화탄소 (CO) 이산화질소 (NO2) 라돈 (Rn) 휘발성 유기화합물 (VOCs) 석면 오존 (O3) 곰팡이 벤젠 톨루엔 에틸벨젠 자일렌 스티렌 2. 실내오염물질의 종류 (1) 폼알데하이드(HCHO) (참고 : 기타가스상물질 2번 폼알데하이드(HCHO) https://hmstorage.tistory.com/10 ) (2) 라돈 (Rn) - 라돈(222)는 우라늄(238)계열의 붕괴과정에서 생성되는 라듐(226)의 괴변성 생성물질 - 무색, 무취의 기체, 화학적으로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 물질, 자연 방사성 물질 .. 2023. 6. 22.
[대기오염개론] 기타 가스상물질 1. 불소화합물 (Fluoride) - 불소(F2), 플루오린화수소(HF), 사플루오린화규소(SiF4, 사불화규소) 등의 총칭 - 플루오린(F, 불소)은 자연상태에서 단분자로 존재하지 않으며, 반응성이 매우 커서 불소화합물의 형태로 각종 식물이나 광물질 내에 존재 - 상온에서 플루오린(불소)은 F2의 형태이며, 황록색(녹황색), 특수한 냄새가 나는 기체 - 대기 중 불소화합물 배출원 : 인산비료 제조, 알루미늄 제조, 플라스틱 제조, 중금속 제조 등 (1) 플루오린화수소(HF, 불화수소) - 비점은 19.5℃, 코를 찌르는 자극성 취기, 무색, 친수성, 부식성의 물질 - 물에 대한 용해도가 커서 강우에 쉽게 제거된다. - 식물의 성분 분석으로 대기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는 물질 + SOx - 식물의 잎의 .. 2023. 6. 21.
Halon, CFC, HCFC, HFC 명명법 1. Halon - abcd 명명법a: 탄소(C) 수,  b : 플루오린(F) 수,  c : 염소(Cl) 수,  d : 브롬(Br) 수 = Halon - C F Cl Br 예) Halon - 1301 : 탄소 수 1개, 플루오린 수 3개, 염소 수 0개, 브롬 수 1개로 CF3Br이 된다.   2. CFC / HCFC / HFC 명명법 (차이)예 1) CFC-113ㄱ. 영문 뒤 숫자에 90을 더한다. 113 + 90 = 203 ㄴ. 세 자리는 순서대로 각각 탄소(C) 수, 수소(H) 수, 플루오린(F) 수를 의미한다. 112 : 탄소 수 2개, 수소 수 0개, 플루오린 수 3개 ㄷ. 탄소가 갖는 4개의 가지에 수소와 플루오린을 배열한 후 남은 가지 수는 염소(Cl) 수를 의미한다. 염소 수 3개 예 2).. 2023. 6. 21.
[대기오염개론] 일산화탄소(CO), 이산화탄소(CO2) 1. 일산화탄소 (CO) - 분자량 28, 비중 1.14, 무색, 무미, 무취, 무자극성, 난용성 - 물에 잘 녹지 않으며(난용성), 다른 물질과 유해한 화학반응이나 흡착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. - 탄소 및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한다. - 화산폭발, 테르펜의 산화, 클로로필의 분해, 산불 및 해수 중 미생물의 작용 등에 의해 자연발생 - 혈액 내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의 210배로 산소운반능력을 저하시킴 - 대기 중의 CO의 체류시간은 1~3개월 - 북위 50도 부근에서 최대치 - 대기 중에서는 이산화탄소로 산화되기 어려움 : 토양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되어 대기 중에서 제거됨 - 대류권 및 성층권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대기 중에서 제거 2. 이산화탄소(CO2) - 분자량.. 2023. 6. 19.
[대기오염개론] 질소산화물(NOx) 1. 질소산화물(NOx) - NO, NO2, HNO, N2O 등의 물질을 총칭한다.- 1차성 물질(NO, NO2), 2차성 물질(NO2, HNO3), 1,2차성 물질(NO2)- 자연적인 NOx 방출량은 인위적인 NOx 방출량의 7~15배 정도이다.- 인위적인 NOx 배출량 중 대부분이 자동차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다.- 토양 박테리아의 대사로써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인 NO, NO2, NH3 배출- NOx는 탄화수소와 함께 태양광선에 의한 광화학스모그(O3, PAN)를 형성한다.- 성층권에서 N2O가 오존과 반응하여 NO를 생성한다.- 대기 중에서 체류시간은 NO, NO2가 약 2~5일, N2O는 약 120년이다.  : N2O > NO, NO2- 연료 중 질소산화물은 석탄에 가장 많고 중유, 경유, 휘.. 2023. 6. 19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