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대기환경산업기사59

[대기오염개론] 국지풍 - 해륙풍, 산곡풍, 전원풍 1. 해륙풍 - 바다(물)와 육지(흙)의 비열차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- 낮과 밤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에 따라 해풍, 육풍이라 한다. - 해풍은 주로 여름, 육풍은 주로 겨울에 잘 발생함 (1) 해풍 - 낮에는 물보다 흙이 비열이 작아 빨리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육지 위 공기가 빨리 데워진다. - 데워진 육지의 공기가 팽창하고 가벼워져서 상승하며, 육지의 기압이 낮아져 저기압이 형성된다. - 바다는 천천히 데워져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며, 바다의 기압이 높아져 고기압이 형성된다. - 상승한 공기로 비워진 육지를 채우기 위해 바다의 차고 무거운 공기가 육지 쪽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난다. = 낮에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해풍 (2) 육풍 - 밤에는 물보다.. 2023. 6. 27.
[대기오염개론] 바람의 종류 1. 지균풍 (Geostrophic wind) - 기압경도력, 전향력의 힘이 평형이 될 때, 등압선에 평행하게 직선운동을 하는 수평의 바람 - 고도가 1km 이상으로 높은 곳에서 완전히 직선인 등압선에 나란하게 부는 바람 -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로 작용하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의 흐름은 발생하지 않고 등압선을 따라 흐른다. - 북반구 기준 지균풍은 왼쪽에 저기압, 오른쪽에 고기압을 두고 분다. - 위도 30도에서의 지균풍속 > 극지방 지균풍속 : 2배 2. 지상풍 (Surface wind) - 기압경도력, 마찰력, 전향력의 세 힘으로 인해 부는 바람 - 고도 1km 이하에서 등압선에 비스듬히 부는 바람 - 마찰의 발생이 심한 지표부근에서 마찰력이 작용하여 지상풍이 두드러지게 된다.. 2023. 6. 26.
[연소공학] 공기연료비 (AFR) 1. 공기연료비(AFR, Air Fuel Raito)  :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로 공기와 연료의 이상적인 화학적 필요량으로 질량비, 부피비를 기준 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낮아지면 NOx는 감소, CO와 HC 증가 - 최적의 공연비보다 공기주입량이 증가하면 산소량 급격히 증가하는데, 이때 과잉 공기 주입으로 인한 열손실과 연료손실 발생 - CO와 HC는 불완전연소 시에 배출율이 높고, NOx는 이론 AFR(최적 공연비) 부근에서 농도가 높다. - NOx는 공연비가 낮거나 높아도 감소할 수 있다. - 완전연소반응식을 통해 AFR을 구한다.  (1) AFR의 값에 따른 농도 변화 - AFR을 14.7과 가까운 값으로 증가시키면 NOx 농도는 증가, CO, HC 농도는 감소 - AFR을.. 2023. 6. 26.
[대기오염개론] 자동차 배출가스 1. 자동차 배출가스 - 배출가스 종류 : HC, CO, NOx, CO2, SOx, 매연 등 - 가장 배출량이 많고 주요 유해가스 : HC, CO, NOx - 엔진작동상태(공전, 운행, 가속, 감속)에 따라 자동차 배출가스의 구성이 달라진다. - 연료량에 비해 공기량이 부족한 경우 CO 발생량 증가 - NOx는 높은 연소 온도에서 발생량 증가, 매연은 연료가 불완전연소 시 발생 (1) 자동차의 주행방식에 따른 배출가스 NOx CO HC 많이 배출될 때 가속 공회전, 가속 감속 적게 배출될 때 공회전 운행 운행 (2) 가솔린 기관 특징 - 연료를 공기와 혼합(예혼합연소)시켜 압축 후 점화플러그로 강제 연소 폭발시키는 방식 - 배출가스 : HC, CO, NOx, Pb 등 - 휘발유, 옥탄가(C8H18) - .. 2023. 6. 25.
[대기오염개론]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1. 자연적 발생 - 화산폭발로 발생되는 먼지나 황산화물, 모래, 황사, 온천지역에서 발생되는 아황산가스, 동식물의 발효나 부패 - 사람이 관리하기 쉽지 않고, 사람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많지 않음 2. 인위적 발생 (1) 1차 오염물질 - 각종 발생원으로부터 대기 중에 직접 배출되는 가스상 물질이나 입자상 물질 - SO2, HC, NaCl, N2O3, NH3, HCl, CO2, CO, CH4, SiO2, 방향족 탄화수소, 금속산화물 등 (2) 2차 오염물질 - 발생원에서 배출된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 화학반응에 의해 다른 물질로 생성된 물질 - NOCl, Oxidants(O3, PAN, 아크로레인, 케톤, HCHO), H2O2 등 (3) 1차, 2차 오염물질 - 발생원에서 배출되고, 화학반응에 의하여 .. 2023. 6. 25.
[대기오염개론] 냄새(악취)물질 1. 냄새(악취) 물질 - 악취는 주변 환경에서 가장 관리하기 힘든 오염물질 중의 하나 - 유해가스와는 다른 종류의 대기오염물질 - 악취에 대한 반응은 개인차가 매우 큼 - 악취는 특별한 물질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생리적인 반응으로 화학적 반응물 - 악취에 대한 불쾌감은 일정 기준, 측정방법으로 정량적 표시 어려움 - 장소, 기상조건, 시간, 오염물질에 따라 변동 큼 2. 냄새(악취)물질 특성 - 일반적으로 증기압이 높을수록, 불포화도 클수록, 화학적 반응성 클수록, 분자량 작을수록 냄새 강해짐 - 파라핀, CS2 제외 적외선 강하게 흡수함 - 흡착제(활성탄, 활성알루미나, 제올라이트 등)에 잘 흡수됨 - 주로 액체형태, 친유성기와 친수성기 둘 다 가짐, 저분자일수록 휘발성 커짐 - 분자 내 황,.. 2023. 6. 25.
728x90
반응형